삼국 중에서 가장 먼저 국가 체제를 정비 한 것은 고구려였다. 부여에서 나온 주몽에 의해 압록강 지류인 혼강유역의 졸본 지방에 나라를 세웠다. 고구려 는 압록강 유역의 집안의 국내성으로 천도하였고, 1세기 후반 태조왕 때 동해안 으로 진출하여 물자가 풍부하고 토지가 비 옥한 옥저와 동예를 정복하였다. 이러한 정복 활동 과정에서 커진 군사력 과 경제력을 토대로 왕권이 안정되었다고한다. 2 세기 후반에는 행정 구역을 개편하였고, 왕 위 계승도 형제 상속에서 부자 상속으로 바 꾸었으며, 4세기 초에는 압록강 중류 지역 을 벗어나 남쪽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고한다. 이어 불교를 수용하여 이전의 다양한 종 교를 불교 중심으로 통합하고 왕실의 권위 를 높이고자 하였다. 태학을 설립하여 인재 를 양성하였으며,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 조 직을 정비하였다. 이로써 고구려는 중앙 집 권 체제를 더욱 강화하여 새로운 발전의 토 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광개토 대왕 때에는 만주 지역에 대한 대 규모의 정복 사업을 단행하였고, 이어 신라 와 왜·가야 사이의 세력 경쟁에 개입하여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함으로써 한반도 남부에까지 영향력을 끼치게 되었다고한다. 고구려의 전성 시대를 열었던 그의 업적 은 만주 집안에 있는 광개토 대왕릉비에 기 록되어 있는데, 그가 죽은 뒤 고구려인들은 그를, 영토를 크게 넓혔다는 뜻으로‘광개토왕이라 하여 그의 위업을 기렸을뿐 아니라.
광개토 대왕의 뒤를 이은 장수왕은 영토 가 늘어나자 다시 국가 체제 정비의 필요성 을 느껴 수도를 국내성에서 대동강 유역의 평양성으로 옮기고남진 정책을 적 극적으로 추진하여 백제와 신라를 압박, 이에 백제와 신라가 동맹을 맺어 대항하자, 고구려는 3만의 군대를 보내 백제를 치고 한 강 유역을 차지함으로써 삼국 간의 항쟁에 주도권을 잡게 되었고
이처럼 5세기 말의 고구려는 한반도의 중부 지방과 요동을 포함한 만주 땅을 차지하여 동북 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위세를 떨쳤다고한다.
6세기 말에 이르러 오랜 분열과 환란을 거듭해 온 중국이 수나라에 의해 통일되었다. 고구려는 수의 침입을 미리 막고 전략상 유리한 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먼저 랴오허 강을 건너 전략적 요충지인 요서 지방을 공격,
이에 수 문제가 침공해 왔으나, 고구려는 이를 물리쳤다. 그 후, 수 양제가 황제에 올라 천하의 최고 통치자임을 내세 우고 동북 아시아의 강국 고구려까지 손아 귀에 넣으려고 하였다. 당시 고구려의 줄기찬 공격을 받아 고전하던 신라는 수에 군사 원조를 요청하였다. 612년에 수 양제는 직접 113만 대군을 동원하여 고구려를 침공하였고, 요동성을 포위, 공격하는 데 실패, 바다를 건너 평양성 부근 까지 침략한 수군 또한 참패하자, 초조해진 수 양제는 30만 명의 별 동대를 투입하여 평양성을 치게 하였는데. 그러나 수의 별동대는 을지 문덕 장군의 유도 작전에 말려들어 평양성 부근까지 진군하였다가 크 게 지치고 굶주려 결국 후퇴하게 되었고. 고구려는 이 틈을 타서, 적군이 살수를 건널 때 그 주력 부대를 공격 하여 전멸시켰다. 그리하여 별동대 30만 명 중에서 살아서 돌아간 사 람은 겨우 약 2700명 정도였다고 한다. 이 싸움이 유명한 살수 대첩이다.
다음에는 고구려 역대 왕들의 계보도를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하겠습니다.